본문 시작
세저리 이야기
[책동네 산책]글을 잘 쓰는 비법
- 변태섭
- 조회 : 6449
- 등록일 : 2008-05-24
글쓰기. 생각할 때마다 가슴을 짓누르는 말이다. 고교시절부터 그랬던 것 같다. 글이 왜 그리 밋밋하고 매가리가 없는지. 콤플렉스 때문에 ‘작문용 단어장’을 따로 만들기까지 했다. 글로 벌어먹은 지 10년이 돼가는 지금도 마찬가지다. 글쓰기 때문에 머리를 쥐어짜는 나날이 줄지 않는다.
‘조선의 마지막 문장’(글항아리). 이번주 나온 신간 가운데 손이 간 책이다. ‘조선조 500년 글쓰기의 완성 이건창’이라는 부제에 혹했는지도 모르겠다. 이 책을 통해 처음 알았다. 명미당(明美堂) 이건창(1852~1898). 김택영, 황현과 함께 ‘구한말의 3대 문장가’로 꼽히는 인물이다. 15세에 문과에 합격, 최연소 과거 합격자 기록을 갈아치우고, 고종이 임오군란 때 청나라로 잡혀가는 대원군을 위해 주문(奏文, 임금에게 아뢰는 글)을 써달라고 찾았던 당대의 명문장가였다. 책은 이건창이 쓴 산문 50여편을 뽑아 옮기고 해설을 붙였는데, 특히 ‘문장론’이라 할 만한 글들이 눈길을 사로잡는다.
‘작문이론에 답하는 편지’를 훑어보자. 이건창에게 작문은 “반드시 먼저 뜻을 얽어야” 하는 것이기에 “뜻이 연속하고 관통하게 하여, 분명하고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해야” 한다. 해서 “어조사 따위의 쓸 데 없는 말을 구사할 겨를”이 없고, “속어 사용을 꺼릴 겨를”이 없다. 다만 “바른 뜻을 놓쳐버리는 것과 하고자 하는 말을 싣지 못했는가를 염려해야” 한다. 그는 또 “쉽고 단순해져야 정밀한 것이 온다”(‘정매하과록서’)라고 강조한다.
책 곳곳에 드러나는 글쓰기에 대한 이건창의 자세는 구도자의 그것과 흡사해 경외감마저 불러일으킨다. “하루에 한 번 고쳐서 일 년에 몇 편을 짓고, 또 몇 편 중에서 산삭(刪削, 필요없는 글자나 글귀를 지움)해 남겨두는 것이 몇 편이 되게 해야 한다. 이제는 더 이상 고칠 것이 없고 더 이상 산삭할 것이 없는 글이 바로 내 마음에 흡족한 글이 된다.” 책 한 권을 쓰기 위해 10년 세월을 바꿀 수 있다는 식이다. 그는 또 “비록 천만 글자로 이루어진 장문일지라도 한 글자를 놓는 데 전전긍긍하여, 마치 짧은 율시 한 편을 짓듯이 해야 한다”고도 말했다. 자신의 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선? “지은 글을 글상자에 던져두고 이삼일 밤 뒤에 남의 글 보듯이 엄정하게 하면 옳은 것은 즉시 옳게 보일 것이고 그른 것은 즉시 그르게 보일 것”이라는 답을 들려준다.
물론 서점에는 매대를 따로 하나 만들 수 있을 만큼 많은 글쓰기 책이 나와 있다. 한 인터넷서점에서 ‘글쓰기’라는 단어로 검색되는 책이 800권이 넘는다. 특히 해외 유명작가들의 책이 강세다. 베스트셀러 작가 스티븐 킹의 ‘유혹하는 글쓰기’가 스테디셀러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윌리엄 진저의 ‘글쓰기 생각하기’, 제임스 미치너의 ‘작가는 왜 쓰는가’가 눈에 띈다. 하지만 100여년 전 이 땅에서 글쓰기를 고민했던 지식인의 글은 현대의 책들이 알려주는 것 못지 않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.
흥미로운 건 스티븐 킹이든 이건창이든 글쓰기의 제1원칙은 하나라는 사실이다. “작문에 어찌 비법이 있겠습니까? 독서를 많이 하고 많이 써보는 것뿐입니다”(이건창). 지당한 말씀이다. 비법이란 게 어디 하늘에서 뚝 떨어질 리 있겠는가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아~ 정말 글 잘 쓰고 싶습니다. 아하하하;;
‘조선의 마지막 문장’(글항아리). 이번주 나온 신간 가운데 손이 간 책이다. ‘조선조 500년 글쓰기의 완성 이건창’이라는 부제에 혹했는지도 모르겠다. 이 책을 통해 처음 알았다. 명미당(明美堂) 이건창(1852~1898). 김택영, 황현과 함께 ‘구한말의 3대 문장가’로 꼽히는 인물이다. 15세에 문과에 합격, 최연소 과거 합격자 기록을 갈아치우고, 고종이 임오군란 때 청나라로 잡혀가는 대원군을 위해 주문(奏文, 임금에게 아뢰는 글)을 써달라고 찾았던 당대의 명문장가였다. 책은 이건창이 쓴 산문 50여편을 뽑아 옮기고 해설을 붙였는데, 특히 ‘문장론’이라 할 만한 글들이 눈길을 사로잡는다.
‘작문이론에 답하는 편지’를 훑어보자. 이건창에게 작문은 “반드시 먼저 뜻을 얽어야” 하는 것이기에 “뜻이 연속하고 관통하게 하여, 분명하고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해야” 한다. 해서 “어조사 따위의 쓸 데 없는 말을 구사할 겨를”이 없고, “속어 사용을 꺼릴 겨를”이 없다. 다만 “바른 뜻을 놓쳐버리는 것과 하고자 하는 말을 싣지 못했는가를 염려해야” 한다. 그는 또 “쉽고 단순해져야 정밀한 것이 온다”(‘정매하과록서’)라고 강조한다.
책 곳곳에 드러나는 글쓰기에 대한 이건창의 자세는 구도자의 그것과 흡사해 경외감마저 불러일으킨다. “하루에 한 번 고쳐서 일 년에 몇 편을 짓고, 또 몇 편 중에서 산삭(刪削, 필요없는 글자나 글귀를 지움)해 남겨두는 것이 몇 편이 되게 해야 한다. 이제는 더 이상 고칠 것이 없고 더 이상 산삭할 것이 없는 글이 바로 내 마음에 흡족한 글이 된다.” 책 한 권을 쓰기 위해 10년 세월을 바꿀 수 있다는 식이다. 그는 또 “비록 천만 글자로 이루어진 장문일지라도 한 글자를 놓는 데 전전긍긍하여, 마치 짧은 율시 한 편을 짓듯이 해야 한다”고도 말했다. 자신의 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선? “지은 글을 글상자에 던져두고 이삼일 밤 뒤에 남의 글 보듯이 엄정하게 하면 옳은 것은 즉시 옳게 보일 것이고 그른 것은 즉시 그르게 보일 것”이라는 답을 들려준다.
물론 서점에는 매대를 따로 하나 만들 수 있을 만큼 많은 글쓰기 책이 나와 있다. 한 인터넷서점에서 ‘글쓰기’라는 단어로 검색되는 책이 800권이 넘는다. 특히 해외 유명작가들의 책이 강세다. 베스트셀러 작가 스티븐 킹의 ‘유혹하는 글쓰기’가 스테디셀러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윌리엄 진저의 ‘글쓰기 생각하기’, 제임스 미치너의 ‘작가는 왜 쓰는가’가 눈에 띈다. 하지만 100여년 전 이 땅에서 글쓰기를 고민했던 지식인의 글은 현대의 책들이 알려주는 것 못지 않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.
흥미로운 건 스티븐 킹이든 이건창이든 글쓰기의 제1원칙은 하나라는 사실이다. “작문에 어찌 비법이 있겠습니까? 독서를 많이 하고 많이 써보는 것뿐입니다”(이건창). 지당한 말씀이다. 비법이란 게 어디 하늘에서 뚝 떨어질 리 있겠는가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아~ 정말 글 잘 쓰고 싶습니다. 아하하하;;
- 이전서울 환경영화제 관심있는 분~
- 다음 술자리 만담